
한동훈, 부산 금정구 8km 도보 유세
한동훈 대표, 부산 금정구 '걸어서 종단' 도보 유세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0.16 재보궐선거 사전투표 이틀째인 12일 부산 금정구에서 도보 유세를 펼칩니다. 한 대표는 이날 윤일현 국민의힘 금정구청장 후보와 함께 '걸어서 금정구 종단' 도보 유세를 진행하며, 시민들의 지지를 호소할 예정입니다.
오전에는 시장 상인들과 만나 집중 유세
한 대표는 오전에는 추경호 원내대표, 서범수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와 함께 부산 금정구 노포 오시게시장을 방문하여 상인들을 만나 유세를 펼칩니다.
오후에는 8km 도보 행진하며 시민들과 소통
오후 2시부터는 노포역에서 온천천역까지 약 8km 구간을 4시간 동안 걸으며 시민들과 직접 소통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한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4시간 동안 종단하면서 시민들을 뵙겠다"며 "가을 주말에 아름다운 부산 금정구를 걸으며 시민들을 만나다니, 정치 참 즐겁게 하는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종교계 방문
추경호 원내대표는 오후 부산 금정구 범어사와 광명사 등 종교계를 방문하며,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12일, 부산 금정구청장 보궐선거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이재명, 부산·인천 지원 유세…혁신·진보 후보 돕는다
10월 16일 재보궐선거 사전투표 마감
10월 16일 재보궐선거 사전투표가 오늘(12일) 마감되었습니다. 유권자들은 오늘까지 선거 실시 지역 내 사전투표소 어디서나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투표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정당 후보들의 마지막 사전투표 유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오늘 부산 금정구와 인천 강화군을 방문하여 선거 운동을 지원했습니다. 오전에는 부산 금정구 금정체육공원에서 김경지 금정구청장 후보와 함께 집중 유세를 펼쳤고, 오후에는 인천 강화도 새우젓축제를 방문하여 민주당 한연희 강화군수 후보 지지 호소와 함께 사전투표를 독려했습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군수 재선거가 치러지는 전남 곡성군과 영광군을 차례로 방문했고, 진보당 김재연 상임대표는 전남 영광군에서 후보 지원 유세를 펼쳤습니다.

북한 헌법 개정, 예측 빗나간 이유
최고인민회의, 예상과 달랐던 결과: 남북 관계 헌법 개정은 없었다
최근 북한의 최고인민회의가 열렸지만, 남북 관계 관련 헌법 개정은 없었습니다. 북한은 헌법 개정을 통해 남북을 '적대적 두 국가'로 명문화하고, 통일 표현을 삭제하며 새로운 국경선을 포함한 영토 조항을 신설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노동 연령과 선거 연령만 수정되었습니다. 이는 북한이 예상을 빗나가며 남한 언론을 비웃는 듯한 행보를 보인 것입니다.
김정은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불참
김정은 위원장은 최고인민회의가 열린 날 자신의 이름을 딴 '김정은 국방종합대학'을 방문했습니다. 이는 김 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에 불참했음을 의미하며, 남북 관계 관련 헌법 개정이 없었던 이유에 대한 의문을 더욱 증폭시켰습니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중요한 헌법 개정을 하지 않고 대학 방문을 선택했다는 점을 들어, 헌법 개정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북한, 헌법 개정 카드를 아끼는 이유
북한이 헌법 개정을 하지 않은 이유는 남한을 '제1 적대국'으로 규정하여 주민들에게 모든 책임을 돌리고, 새로운 국경선을 설정하여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켜 미국까지 포함된 협상의 장을 열 수 있는 '활용하기 좋은 카드'를 아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김 위원장은 미국 대선 판세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러한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 아깝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대신 공개 연설을 통해 남한을 강도 높게 비난하며, 헌법 개정 대신 대남 적개심을 고취시키는 전략을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헌법 개정, 언제 발표될까?
북한이 헌법 개정을 했는지 여부와 그 시기는 아직 불분명합니다. 북한은 2019년 4월 김정은을 국무위원장으로 재추대하면서 공식 국가수반으로 추대하는 내용을 담아 헌법을 개정했지만, 이 사실은 석 달이 지난 뒤에야 공개되었습니다. 이처럼 북한은 개정된 헌법의 상세한 내용을 뒤늦게 공개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헌법을 개정했는지 여부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헌법 개정을 통해 남북 관계를 '두 국가론'으로 규정하고 주변 강국과의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대선 결과를 고려하여 15기 최고인민회의 구성 후로 '두 국가론' 개헌 시기를 조절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김 위원장이 최근 당 간부들의 기강 해이를 지적하고 체제 결속 극대화를 시도하는 등 내부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남북 간 긴장 국면을 극대화할 여지가 높은 헌법 개정이나 개정 내용 발표는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영등포 산부인과 화재, 산모와 신생아 21명 대피
서울 문래동 산부인과 화재, 인명 피해 없이 21명 대피
오늘(12일) 오전 6시 40분쯤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의 한 산부인과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10여분 만에 불길이 잡혔고 인명 피해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산모 6명과 신생아 6명을 포함해 총 21명이 안전을 위해 대피했습니다.
해당 산부인과는 건물 2층부터 7층까지 6개 층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은 4층 남자화장실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습니다.